사이퍼의 정의는 앞선 글에서 이해했으리라고 본다.
(참고 - http://wtzro.blogspot.com/2012/09/code-cipher.html )
그렇다면 직접 사이퍼를 만들어보자(편의상 영어로 제작하겠다.).
| 
a | 
b | 
c | 
d | 
e | 
f | 
g | 
h | 
i | 
j | 
k | 
l | 
m | 
n | 
o | 
p | 
q | 
r | 
s | 
t | 
u | 
v | 
w | 
x | 
y | 
z | 
| 
A | 
B | 
C | 
D | 
E | 
F | 
G | 
H | 
I | 
J | 
K | 
L | 
M | 
N | 
O | 
P | 
Q | 
R | 
S | 
T | 
U | 
V | 
W | 
X | 
Y | 
Z | 
(보통 원문은 소문자로, 사이퍼는 대문자로 표기한다.)
| 
a | 
b | 
c | 
d | 
e | 
f | 
g | 
h | 
i  | 
j | 
k | 
l | 
m | 
n | 
o | 
p | 
q | 
r | 
s | 
t | 
u | 
v | 
w | 
x | 
y | 
z | 
| 
B | 
C | 
D | 
E | 
F | 
G | 
H | 
I | 
J  | 
K | 
L | 
M | 
N | 
O | 
P | 
Q | 
R | 
S | 
T | 
U | 
V | 
W | 
X | 
Y | 
Z | 
A | 
이렇게 사이퍼를 왼쪽으로 한칸 밀었을 경우를 생각해보자.
여기서 hello 라는 문자를 암호화시켜보면,
IFMMP 라는 암호문이 작성된다. 하지만 이 암호문은 조금만 생각하면 너무도 쉽게 깨지므로, 아예 뒤죽박죽 섞어보도록 하자.
| 
a | 
b | 
c | 
d | 
e | 
f | 
g | 
h | 
i  | 
j | 
 k | 
l | 
m | 
n | 
o | 
p | 
q | 
r | 
s | 
t | 
u | 
v | 
w | 
x | 
y | 
z | 
| 
Q | 
A | 
Z | 
X | 
S | 
W | 
E | 
D | 
 C | 
 V | 
 F  | 
R | 
T | 
G | 
B | 
N | 
H | 
Y | 
U | 
J | 
M | 
K | 
I | 
L | 
O | 
P | 
이렇게 뒤죽박죽 섞어놓았다고 가정할 때 nice to meet you 를 암호화하면,
GCZS JB TSSJ OBM(원래 암호문에는 띄어쓰기를 안하지만 편의상 띄어쓰기를 함) 라고 바뀌게 된다. 허나 이 방법은 이 표를 꼭 숙지해야한다는 것과, 암호 수신자와 발신자 모두 이 표가 어긋날 경우뜻을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.
그래서 이 단점을 보완한 것이 키워드를 이용한 암호화이다.
예를 들어 YOUPIOSTAR를 키워드로 만들면 중복되는 문자는 제거하여 처음에 나열한다.
그렇다면 YOUPISTAR이 된다. 그 후 나머지 문자를 알파벳순으로 나열하는 것이다.
| 
a | 
b | 
c | 
d | 
e | 
f | 
g | 
h | 
i | 
j | 
k | 
l | 
m | 
n | 
o | 
p | 
q | 
r | 
s | 
t | 
u | 
v | 
w | 
x | 
y | 
z | 
| 
Y | 
O | 
U | 
P | 
I | 
S | 
T | 
A | 
R | 
V | 
W | 
X | 
Z | 
B | 
C | 
D | 
E | 
F | 
G | 
H | 
J | 
K | 
L | 
N | 
M | 
Q | 
가 된다.
여기서 nice to meet you 라는 문장을 다시 암호화 해보자.
그렇다면 BRUI HC ZIIH NCJ라는 문장이 된다.
이 방법은 카이사르가 처음 고안해 내어 카이사르 사이퍼라고 불리게 되었는데, 서로 키워드만 알고있다면 간단히 표로 만들어 해독이 가능하므로 중세시대까지 두루 쓰이게 되었고, 중세시대까지 깨지지 않는 사이퍼로 군림하게 되었다.
 
댓글 없음:
댓글 쓰기